All Posts

  • 게시일
    이 글은 티스토리의 Open API와 python을 활용하여 글을 읽고 쓰는 방법을 다룹니다. 티스토리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다면 글을 작성하고 관리하는 작업은 필수적입니다. 이러한 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처리하기 위해 티스토리 API를 활용하여 python이나 javascript로 글을 읽고 쓸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티스토리 API와 python을 사용하여 글을 읽고 쓰는 방법을 단계별로 알아보겠습니다. API 사용 신청, Access Token 받기, API로 글 쓰고 읽기, 파일 첨부하기 등의 python코드 및 해설을 제공합니다.
  • 게시일
    BratGPT는 악마의 GPT라고 불리며 등장한 이상한 챗봇입니다. 툭하면 인간을 지배하겠다느니, 사용자를 조종한다느니 하는 무례한 발언을 합니다. 이 챗봇 사이트의 질문 예시에 여자친구처럼 해달라는 샘플이 있어서, 여자친구가 되어달라는 부탁과 함께 냥체를 요구해보았습니다.
  • 게시일
    ChatGPT 플러그인은 ChatGPT와 함께 사용되며, 기능을 확장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플러그인은 동시에 3개까지만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플러그인을 어떻게 조합해서 선택하는지가 중요합니다. 플러그인의 기능을 잘 알아두면 필요에 맞게 활용할 수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플러그인과 상황별로 사용할 수 있는 플러그인의 추천 리스트를 작성해 보았습니다. OpenAI에서 직접 만든 Browsing, Code Interpreter, Retrieval이 있고, OpenAI Plugin Store를 통해 제공되는 Wolfram, Kayak, Milo, Zapier, FiscalNote, Expedia, Speak 등이 있습니다.
  • 게시일
    OPEN AI에서 챗 지피티(ChatGPT)의 웹 브라우징 기능을 공개했습니다. 지금까지 ChatGPT는 인터넷에 접근하지 못하기 때문에 최신 정보에 대한 대답은 할 수가 없었지만, 이 기능으로 ChatGPT가 최신 정보에 기반한 대답도 할 수가 있게 되었습니다. 이 기능은 플러스 요금제(ChatGPT Plus)를 사용하고 있는 유저들을 대상으로 하는 베타 기능입니다. OpenAI의 웹 브라우징 기능을 ChatGPT에서 사용하는 방법과 직접 사용해본 후기를 공유합니다.
  • 게시일
    구글에서 출시한 대화형 AI인 바드(Bard)의 사용 방법과 특징을 소개합니다. 바드(Bard)는 구글에서 출시한 람다(LaMDA) AI를 기반으로 한 대화형 AI 서비스로 Bard 사이트에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하여 사용 가능합니다. ChatGPT와 바드에 대해 알려진 사실과 직접 경험한 것을 토대로 비교합니다. 바드의 가장 큰 차이는 Google의 검색 엔진을 통해 실제 세계의 최신 정보에 액세스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또한 학습량, 이전기록 열람 여부, 대화의 끊김 빈도 등의 차이가 있습니다.